Breaking STEREOTYPE in Lee sang ga ok
김정수(성균관대 대학원) + 강해천
AJ837111
프로그램
나는 이곳에 '주거형 동호회 Art Shop 및 모임장소'를 계획하려고 한다. 이 계획안을 통해서 이러한 커뮤니티 중 간단한 작업이 동반되는 예술가와 문학가들의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 중 몇몇은 여기에 기거하고, 다른 회원들과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다., 그들의 담론과 창작의 작업들은 간단한 상품으로 제작되어 한쪽에 전시와 판매를 병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한옥에 대한 견해
내가 생각하는 한옥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생활 방식에 맞춰 온 우리의 생활방식이 담긴 집이다.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마다 다르고 땅의 위치마다 다르다. 즉 전통적 가옥의 구축적 방법을 통해 곳곳마다 적응해 땅을 읽는 방법이 한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옥은 우리의 많은 것을 담는 그릇과 같은 역할을 한다.
심사평
1. 리서치를 통한 훌륭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기존 건물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잘 보존하면서 전체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 또한 잘 분석하였다. 특히 사이트의 부분 부분적 특성과 가능성을 Folie 라는 유동적 건축공간을 통하여, 나름대로 독창적으로 제안을 하고 있는 것은 훌륭해 보인다. 그러한 제안들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생활 방식에 맞춰온 우리의 생활방식이 담긴 집’ 에 잘 맞춰지고 있으며, 형태적으로 창의적이지는 못하지만 본인이 만들고자 하는 생각이 분명하고, 그것을 개념으로 풀어낸 디자인 접근 자체가 신선하고 돋보이는 안이다.
2. 사이트에 대한 분석이 훌륭하며 전통적인 건축기법을 사용하여 주거 공간이 있는 아트 “스튜디오”를 설계하였다. 전통적인 주거 건축을 보여준다.
HERITAGE TOMORROW PRIZE
-
재 영조(齎 營造)
김홍철(경희대) + 윤홍철(명지대)
HERITAGE SPIRITS PRIZE
-
Breaking STEREOTYPE in Lee sang ga ok
김정수(성균관대 대학원) + 강해천
-
미스터리와 미스유의 대화
김재기(중앙대) + 엄경미(중앙대)
-
놀이터BOOK - 문 열린 한옥집
이지연(서울산업대) + 김효성(서울산업대)
-
URBAN YARD - Not enclosed but endless space
강준성(전남대) + 양지훈(전남대)
-
한옥공간의 얼개
오영욱 (디'에스빠시오 건축사 사무소)
-
韓屋의 dia-logos
최병득(아주대) + 이성민(아주대)
HERITAGE CHALLENGE PRIZE
-
투영(投影)
민중환(고려대) + 이상윤(고려대)
-
집이 되어 집(集)이 되다
황미정(경희대) + 신혜영(경희대)
-
Decalcomanie
신동건(에이비라인 건축사사무소) + 김윤지(홍익대)
-
치유재(治癒齎)
이광희(동의대) + 정재화(울산대)
-
상:상:정:원
오승헌(DIA ARCHITECTURE) + 권혁만
-
동질이상
강태민(동아대) + 이민영(동아대)